R2(습관방) - 자유서평 기록들

<3차> 행복이란 무엇인가?

변용철
2020-06-14
조회수 1779

<행복이란 무엇인가, what is hapiness?> -탈 벤 샤하르



이 책은 하버드대학에서 가장 사랑받는 교수 탑3안에 든 심리학 교수가 쓴 책이다. 나는 최근 심리학 관련된 책을 읽으면서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긍정심리학 관련 책을 몇 권 읽은 상태다. 감정기복과 우울한 상태에서 어떻게 해야 나아질 수 있는 지에 대한 개념을 조금은 인지하고 있다. 그런데도 무언가 한쪽이 허전한 상태로 남아있어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싶은 마음에 접하게 되었다.


p102. 현재의 노력은 내일의 행복을 위해서이며, 어딘가에서 행복이라는 녀석이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샤하르 교수의 행복은 오늘, 바로 지금 존재한다고 강조한다.


p104. 사람들이 항상 내일의 행복을 좇기 때문입니다. 팀은 내일의 행복을 위해 현재를 희생하지만 정작 오늘 행복한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내가 그랬다. 오늘 고생하면 내일은 웃을 날이 온다며 행복한 내일을 기다렸다. 내일의 행복을 위해서 오늘을 포기하였지만 행복은 오지 않았다. 지금 행복하지 못하면서 미래의 행복을 바라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만일 내일의 행복을 위해서 오늘을 희생하였다면 내일은 행복해야 하고, 그 내일이 오늘이어야 한다. 나에게 주어진 하루, ‘지금’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


‘완벽주의와 최적주의’에 대해서도 설명을 한다. 작가는 무엇이든 완벽하게 해내려 하고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요시 하는 사람은 완벽주의 라고 말한다. 결과만을 중요시하고 실패를 용납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적주의와 다르며 행복을 방해한다고 한다. 완벽주의가 가지는 행동들과 생각들을 보며 많은 공감을 하였으며 나는 너무나 완벽주의의 사람이었던 것 같다. 이 글을 읽은 후부터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다.


이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긍정적으로, 행복하게 살기 위한 방법들이 나온다. 감사일기, 명상, 성공(상상)등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다른 책에서도 명상과 감사일기의 중요성을 나와 알고 있는 내용이었다. 한번 더 반복해서 나쁜점은 없지만 조금만 더 구체적인 방법들이 나왔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려운 내용은 없기에 심리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볍게 읽기 좋은 책인 것 같다.

0 0